@
 
비뇨기과 클리닉
Urology Clinic
HOME >> 비뇨기과 클리닉 > 성병, 요도염 클리닉
 
성병은 일반적으로 성기의 접촉을 통해 전염되지만 성생활의 패턴에 따라서는 입이나 항문을 통해 전염되기도 합니다. (사면발이 같이 성병은 예외적으로 타월이나 속옷, 카펫 등에서 옮기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성병의 원인균은 30여 종이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요즘 가장 흔한 성병으로는 임질, 클라미디아, 헤르페스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그 외에 곤지름, 각종 질염(트리코모나스, 칸디다, 세균성 질염), 사면발이 등이 있으며, 간염 바이러스도 성관계로 옮을 수 있습니다. 성병은 전염병이므로 일단 걸리면 철저히 치료해야 합니다.
성병에 걸리면 전신 및 피부, 구강, 목구멍, 질과 회음부 등에 각각 특징적인 변화가 나타납니다.
미열이나 몸살 기운
피부에 발진이 생기고 머리카락이 빠진다
입 속에 하얀 꺼풀과 궤양이 생긴다
물집과 사마귀가 항문까지 번진다
매독은 페니실린 주사로 완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매독의 다양한 증상에 대해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궤양이 생기지만 통증은 없습니다.
2차적 단계는 피부 발진입니다.
잠복기는 수개월에서 수년 동안 지속됩니다.
가장 흔한 성병. 임질균은 점막의 접촉을 통해 전염되는 세균으로, 건조한 곳에서는 금방 죽어버리기 때문에 화장실 변기나 문 손잡이, 수건 같은 것을 통해서는 옮지 않습니다. 남성의 경우, 접촉 후 2∼10일의 잠복기가 지나면 갑자기 소변 볼 때 따끔거리면서 녹색을 띤 황색 고름 같은 분비물이 요도 끝에서 나오기 시작합니다.
여성은 증상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임질, 불임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곤지름은 성기나 항문 주변에 닭 볏 모양으로 번지는 사마귀입니다. 바이러스가 원인이지만 치료가 잘 되는 편입니다. 치료는 특별한 화학약품으로 녹여내거나 고주파, 레이저 등을 이용해 도려냅니다. 만일 곤지름이 생겼다면 배우자의 성기에도 생기지 않았는지 살펴보고, 발견되면 즉시 치료를 받도록 합니다. 양쪽 모두가 치료가 끝날 때까지는 성 접촉을 금해야 합니다.
외음부가 헐어 병원을 찾는 환자의 약 50%는 헤르페스입니다. 헤르페스는 피부나 점막의 접촉을 통해 전염 됩니다. 이 바이러스는 피부나 점막에서도 번성하지만, 말초 감각 신경의 줄기를 타고 척추 근처의 감각 신경 세포가 모여 있는 신경절에 자리를 잡아 1차 감염 후에 일생을 두고 재발을 일으킬 수 있는 근거지를 마련합니다.
1년에 5∼8회정도 재발합니다.
거의 평생 동안 재발할 수도 있습니다.
사면 발이는 몸에 기생하는 이의 일종으로 주로 음모에 기생합니다. 아주 밀접한 접촉이나 타월, 옷, 이불 등을 통해서도 전염이 됩니다. 증상은 심한 가려움증이 나타나며, 지속적인 가려움증으로 피부가 붓고 헐게 됩니다. 음모 부위를 살펴보면 이에 물린 자국인 미세한 피멍을 볼 수 있으며, 돋보기로 보면 음모 위에 딱 달라붙은 흰 알을 볼 수 있습니다. 치료는 약국에서 '린단 크림'이라는 약을 구입해 발라주면 됩니다. 재감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의심되는 옷은 소각 처리하고, 이불은 삶아 빨아 햇볕에 자외선 소독을 합니다.
후천성 면역 결핍증은 1979년 미국에서 사례 보고가 있은 후 역학적 조사를 통해 밝혀진 질병입니다. 에이즈 바이러스를 갖고 있는 중앙아프리카의 녹색원숭이가 사람을 물어 인간에게 전파됐다고 합니다.
75%가 성교를 통해 전염됩니다.
사망까지 이를 수 있습니다.
방광에서 소변을 밖으로 인도하는 길인 요도는 남성과 여성에 있어서 그 차이가 있습니다. 남성의 요도는 길이가 약 16~18cm정도이나, 여성에서는 약 2.5~4cm로 그 길이가 남성에 비하여 훨씬 짧습니다. 남성에 있어서, 요도는 소변 뿐만 아니라 정액을 배출하는 통로로도 겸하고 있어서 생식기에 포함시키기도 합니다.
전체적으로 에스자 모양으로 구부러진 긴 관으로서 편의상 몇 개의 부위로 나누어 구분합니다. 요도가 속요도구멍을 통해 방광벽을 빠져나오면 곧 전립샘의 한가운데를 뚫고 주행하기 때문에, 이 부위를 전립샘요도라고 하며, 이곳으로 사정관이 개구하고 있습니다. 그 후 요도는 전립샘밑을 받치고 있는 비뇨생식격막을 관통한 후 치골결합의
아래쪽에서 앞쪽으로 구부러지면서 주행합니다. 비뇨생식격막을 관통하는 부위에는 요도조임근이 있어 수의적으로 요도를 닫는 역할을 합니다.

비뇨생식격막을 빠져 나온 요도는 음경의 요도해면체속을 지나 음경귀두의 한 가운데에 있는 바깥요도구멍으로 개구한다. 한편 요도가 주행하고 있는 주위에는 전립샘, 요도망울샘 및 요도샘등의 외분비샘이 위치하고 있어서, 이곳으로부터 외분비관이 나와 요도 속으로 개구하고 있습니다.
속요도구멍을 통해 방광을 빠져 나온 요도는 비뇨생식격막을 관통한 후, 질의 앞쪽으로 내려가 음핵의 뒤에서 질전정에 있는 바깥요도구멍으로 개구합니다. 여성의 요도는 남성에 비하여 주행도 단순하고 그 길이도 짧기 때문에 방광염등의 요로감염이 일어나기 쉽습니다.
비 임균성 요도염은 임질 이외의 요도염의 총칭이었으나 최근에는 성병 이외 요도염이 임질의 3∼4배나 많아졌습니다.
잠복기는 3일에서 수년까지 다양하고 농성분비물은 없을 수도 있습니다.
피로했을 때나 음주 후 또는 성교 후에 다시 약간의 분비물이 나옵니다.
소변을 볼 때 화끈거리는 느낌이 있고 요도가 간지럽습니다.
통증은 심하지 않지만 몇 번이고 거듭되면서 완전히 회복되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여러 가지 화농균, 디프테로이드균 등
대개는 병원체를 알 수 없는 요도염입니다.
테트라사이클린 등 각종 항생물질을 사용합니다.
트리코모나스의 검사를 하고 그 치료를 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전립선염의 유무를 조사합니다.
임질만큼 심한 합병증은 없으나 꾸준히 치료할 필요가 있습니다.